양재문사진전
양재문사진전
  • 포토저널
  • 승인 2021.03.13 14: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전시일정: 2021년 4월 21일부터 4월30일
. 전시장소: 미루갤러리 (tel: 010-3686-7615)

2020421일부터 430일까지 충무로 미루갤러리 (tel: 010-3686-7615)에서 양재문 작가의 초대전이 열린다. 한국의 춤을 작업해온 그의 작업은 초서체(草書體)를 보듯 우리 전통춤의 미와 흥이 있고, ()이 서려 있다. 양재문은 1994년 풀빛여행을 시작으로 비천몽에서 신명스러움을, 아리랑판타지에서는 굳샘과 역동성을 묘파한다. 이어 발표한 처용나르샤은 처용의 호방함과 너그러움, 그리고 호국정신의 기상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일련의 행보는 그의 The Korean Odyssey 프로젝트 일환으로 계속되고 있으며 전통춤 사진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담아내고 있다. 양재문은 현재 신구대학교 사진예술아카데미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우리 민족지의 고층(古層), 풍류를 초혼재생하다

최재목(문화평론가, 시인, 영남대 철학과 교수)

소멸상실을 초혼재생하다

나무를 태우는 불은 결국 스스로를 없애 버린다. 완성은 곧 소멸이다. 이처럼 춤의 목적은 그 자체를 불태워서 결국 스스로를 무효화하는 것이다.

춤은 자신을 태워서 광채를 드러내는 일이며 결국 지쳐서 스스로를 없애버림으로써 끝난다. 이런 역설에서 살아남는 진실은, <춤은 그 자체로 ()=‘마야(maya)’>라는 사실이다. 춤은 환을 좇으며, 그것을 완성하고 죽어간다. 춤은, 스스로를 불태우는 순간순간의 꽃잎을 서로서로 물고 있다. 그래서 처음도 끝도 없이 연결된 한 송이의 꽃이다.

 

양재문 작가의 사진에는 이 꽃 한 송이의 영혼을 불러내어 재생하는 안간힘을 볼 수 있다. 마치 보들레르나, 프루스트나, 발터벤야민이 붙들고 싶어 했던, 스쳐지나가는 불꽃=순간처럼, 양재문 작가도 그것을 붙들고자 한다.

작가의 사진에는 잃어버린 순간, 그 찰나 찰나의 기억이 자리해 있다. 사진은 섬광처럼 사라진-스러진 존재들의 집이다. 거기에는 수많은 손짓, 발짓, 몸짓’, 허공에서 꽃잎을 피우고 떨구고, 피어나고 떨어져 내리는 옷깃, 눈빛, 그리고 치맛자락이 신내림처럼 쌓여 흩날린다. 모든 존재는 마야=[]이고, 그것이 바람따라[] 출렁인다[]. 이런 상실과 소멸을 초혼재생(招魂再生) 시키려는 예술가가 있다. 양재문 작가이다.

바람따라[] 출렁이는[] 형식

모든 존재는 결국 허물어진다. 허물어진 다음에는 다시 그곳으로 똑 같게 되돌아갈 수는 없다. 매 순간 순간 존재들은 허물어지고 생성되며, 자신을 부정하면서 살아남는 것을 반복한다. 스스로를 상실하면서 복기(復棋)하는 이런 존재의 변화는 결국 차이를 반복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 반복 속에 겹침의 현상=환상이 동일한 무언가가 있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그 존재는 흔적을 남기며, 자신의 위치를 알린다. 먼저, 움직임이다. 다음으로, 이 움직임은 드러나는 힘숨는 힘을 갖는다. 드러나는 힘은 또렷한 빛이자 색깔 즉 양율(陽律)이고, 숨는 힘은 그림자의 흐릿함과 모호함 즉 음려(陰呂)이다. 이 음양의 두 힘은 존재가 바람따라[] 출렁이며[]’ 드러났다가 숨다가 하는 자연의 형식이다. 이 형식의 신묘함[]’은 귀신처럼 종잡을 수가 없다. 그러나 이런 신묘함을 뒤쫓는 집요한 작가가 있다.

양재문은 존재의 신묘한 형식을 뒤쫓아=찾아보여주려고 한다. 마치 샤먼[]처럼 자신이 본 신묘함을 우리들에게 말해주고자=보여주고자 한다. 그는, 대지 위에 서서[], 천지의 소리를 듣고[]’[]’으로 전해주는 이른바 샤먼[]인 것이다.

우리 민족지 고층(古層)의 넋을 찾다

샤먼은 천지와 인간 사이에 서서 천지의 신묘한 소리’(=, , 색깔, 움직임)를 우리들에게 전해주려는 자이다. 그런 역할을 하는 사람이 정치와 종교에서는 ()’이라 한다.

이처럼 샤먼에서 성()으로전화(轉化)하는 문화의 고고학을 양재문의 사진에서 읽어낼 수 있다. 샤먼이 걸어온 흔적을 사진이라는 형식으로 펼쳐서 보여준다.

양재문의 사진을 따라가다 보면, 글쎄, 우리 민족지(民族誌. ethnocartography)의 고층(古層)에 자리한 화랑(花郞)도 만나고, 무당도 만나고, 건달(乾達)도 만나고, 비천(飛天), 농민도, 선비도, 평민의 남녀노소도, 설움도, 아쉬움도, 멋도 두루두루 다 만난다. 결국 이것은 우리들 문화유전자 속에 이어지는 풍류(風流)을 목도하고, 전해주며, 함께 즐기는 일이리라. 바로 이 풍류의 넋을 초혼재생하려는 것이 양재문 작가의 소명이다.

(, maya), ‘있으나 없는곳으로

양재문 작가가 사제(司祭)가 되어 보여주는 전통 춤사위 사진 작업은 우리 민족지의 오래된 지층=고층(古層)에 화석화된 넋을 일깨워 소생시키는 일이라 본다.

이 고층(古層)차이를 보이면서 반복하는’, ‘있으나 없는민족지적인 춤사위가 오래된 생명의 숨결로서 약동하고 있다. 그 숨결은 불꽃처럼 찰나의 생멸 속을 스쳐 지나가고, 여러 공간에 흩어져서, 산 자들의 육신을 통해 전해진다. 그런 순간의 형식을 작가는 포착하고 싶다. 그러나 이 형식은 타오르는 동시에 사그라지는 불꽃이므로, 작가는 수많은 시도를 통해 그 두 얼굴을 붙들어낸다.

사진을 통해 양재문 작가가 초혼재생 시키려는, 저 반복 속 겹침의 현상=환상. 이것은 천지의 소리를 중개하여 전해주던 샤먼[]의 입처럼 우리 민족지 그 무명(無明)의 심층 속에 바람따라[] 출렁이는[] 넋이리라.

이런 풍류는, 사진이라는 이미지의 허구=허망에 기대어[卽虛] 진실을 드러내기에[顯實] ‘따스한, 눈물겨운 니힐리즘이라 말하고 싶다. 그러나 우리 민족지의 고층(古層)에 숨 쉬는 풍류를 초혼재생 하려는 작가의 신산한 노력은 여전히 희망 쪽에 서 있다.

(, maya) - ‘있으나 없는곳으로 다가서려는 작가의 피어린 여정에 진심어린 경의를 표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