래리 클락 (Larry Clark, 1943~)의 일탈적인 삶에 대한 기록
래리 클락 (Larry Clark, 1943~)의 일탈적인 삶에 대한 기록
  • 포토저널
  • 승인 2017.04.25 14: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글: 김영태 / 사진문화비평, 현대사진포럼대표

 

몇 년 전에 서울 종로구 통의동에 있는 대림미술관에서 미국의 동시대사진가인 라이언 맥긴리 개인전이 개최되었는데, 주말마다 20대 젊은 관객들로 전시장이 붐볐다. 필자는 우리나라에서 열린 사진전 중에서 동시대 작가의 전시가 일반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처음 본 것 같다. 그동안은 매그넘Magnum이나 내셔널지오그래피 같은 저널리즘사진이나 살가도나 브레송 같은 모더니즘적인 다큐멘터리사진가들의 전시는 대중들의 호응을 받았지만 동시대작가들의 전시는 관계자들 외에는 관심을 갖는 이들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몇 년 전에 열린 라이언 맥긴리의 사진전은 우리나라의 20대 젊은 세대들의 호응에 힘입어서 전시흥행에 성공했다. 맥긴리는 자신이 10대 때부터 겪은 미국 젊은 세대들의 삶과 문화를 솔직하고 아름답게 표현했다. 그러한 내용이 20대들의 정서와 공감대를 형성한 것 같다. 이전시의 서문에는 선배 사진가들인 1943년생 래리 클락과 1953년생 낸 골딘이 언급되고 있다. 맥긴리의 표현방법과 작품의 내용은 이들과 유사 한 점이 많이 있다. 자연스럽게 찍은 스냅촬영이라는 것과 아웃사이드적인 삶을 사는 젊은이들에 대한 기록이라는 점에서 닮은 점이 있다.

 

 

 

 



또한 다큐멘터리적인 형식과 내용이라는 점도 유사하다. 하지만 다큐멘터리사진으로 평가되기 보다는 예술적인 요소가 좀 더 부각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저널리즘사진이나 다큐멘터리사진과는 분명한 차별점이 있다.

 

 

 

 

 



사진은 멀리는 1890년대 후반부터 가깝게는 1930년대부터 사회적인 기능이 부각되어 사회개혁적인 수단으로 이용되었다. 그래서 사진사적으로 유명한 상당수의 사진가들이 공적인 현실을 기록한 포토저널리스트나 다큐멘터리사진가다. 하지만 1950년대 후반에 로버트 프랭크가 등장한 이후 표현영역 및 표현방식이 변화되기 시작했다. 공적인 현실에서 일상적인 삶으로 표현대상이 옮겨왔고, 객관적인 기록에서 주관적인 표현으로 사진가들의 표현방식도 변화했다. 이러한 사유화, 주관화 현상은 1960년대 이후 더욱 더 심화되어 나타난다. 그 결과 동시대사진에서는 다큐멘터리사진과 예술사진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구분 자체가 의미가 없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은 사진의 역사적인 변화과정에 래리 클락, 낸 골딘, 라이언 맥긴리 등이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문화적인 배경은 조금 차이가 있지만 1968년생으로 독일출신이면서 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작가인 볼프강 틸만스도 이들과 유사한 맥락의 작품으로 주목받았다.

 

 

 

 

 

이번에 소개하는 작품은 현재는 영화감독으로 더 알려져 있는 래리 클락(Larry Clark)의 작품이다. 작가는 당시로서는 과격하고 파격적인 현실을 기록한 흑백사진으로 주목받았다.

어느 시대, 어느 사회이든지 젊은이들의 삶은 현실의 규범에 잘 적응하면서 사회의 모범생으로서 미래를 준비하는 경우와 기존의 체계에 반항하면서 방황하는 삶을 살아가는 경우로 거칠게 구분 할 수 있다. 또한 후자의 경우에는 무조건적으로 방황하기 보다는 자신의 정치적인 신념에 의해서 정치적인 투쟁을 하는 삶도 있다. 래리 클락은 후자에 해당되는 젊은이들의 삶을 주관적인 태도로 기록했다. 작품에 담겨져 있는 인물들은 보편적인 삶을 살지 않고 하나 같이 일탈적인 행위를 한다. 무분별한 섹스, 폭음, 약품중독 등이 작품에서 고스란히 드러난다.

 

 

 

 

 

여기에는 소개하는 작품은 그 중에 일부다. 젊은 남녀가 벌거벗은 모습으로 서있는 장면을 포착한 사진이다. 남자는 살짝 웃는 표정이고 여자는 무엇인가 어색하고 조금은 경직되어 있는 표정이다. 그들의 자유분방한 삶 혹은 일탈적인 삶을 엿 볼 수 있는 장면이다.

작가는 여기에 소개한 작품보다도 좀 더 자극적이고 적나라한 그들의 개인적인 삶을 기록했다. 앵글 및 프레임의 선택도 특정한 형식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다. 또한 작품의 내용도 예사롭지 않다. 클락은 영화에서도 젊은 세대들의 문화를 다루었다. 젊은이들의 방황을 사실주의적인 태도로 기록한 결과물이다. 매체를 달리하면서 같은 대상과 주제를 반복적으로 이야기하고 있다. 일상 그 중에서 젊은 세대들의 규범에 벗어난 삶을 파격적인 형식으로 보여줌으로써 반항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2010년 10월에 파리시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개인전도 18세미만 관람불가로 전시가 진행되었다니 작품의 내용을 짐작하게 한다.

 

 

 

 

 



20세기 초반 아방가르드이후 예술가 중에서 주목받는 예술가는 세대와 시대를 초월하며 늘 논쟁과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작가도 그러한 예술가 중에 한사람이다.

서울에서 라이언 맥긴리의 전시가 화제가 되었기 때문에 혹시 이 작가의 작품도 볼 수 있게 될지 막연하게 기대해보면서 글을 마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